들어가며
언올닷컴 블로그 필진 정원준입니다.
이번 글에서는 KLO 2024/25 3번 문제인 앨라배마어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. 이 글에서 C는 자음, V는 모음을 뜻하며, 각각 Consonant와 Vowel을 줄인 것입니다.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.
Step 0: 소재 정보 파악하기
IOL 2022에도 출제되었던 앨라배마어가 다시 한 번 문제 소재로 채택되었습니다. 이 문제는 앨라배마어 동사의 특정한 형태론적 과정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. 늘 그래야 하듯 먼저 주석을 확인합시다.
주석에는 계통과 사용자 수 외에도 음성 기호에 대한 정보들이 있습니다. ɬ는 자음이고, 성조가 있으며, 같은 글자를 두 번 쓴 것은 길게 발음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.
Step 1: 문제 형식 파악하기
앨라배마어 문제의 요구 사항은 빈칸 (ㄱ)~(ㅊ)을 채우는 것입니다. 할 일이 하나밖에 없는 만큼 빈칸의 개수는 타 문제 대비 조금 더 많습니다.
자료를 간단히 훑어 보니 동사의 긍정 형태가 기본형이고, 특정한 형태론적 과정을 거친 후 부정 형태가 되는 것 같습니다. 제공되는 한국어 의미는 풀이와 무관한 듯 합니다.
Step 2: 두 종류의 자료를 비교하기
먼저 긍정 형태와 부정 형태가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봅시다. 비교는 두 종류의 데이터가 주어지는 문제를 풀기 위한 가장 기본적인 방법입니다.
두 형태를 비교해 보면, 부정 형태는 긍정 형태에 특정한 접사를 첨가한 후 어말 모음을 -o로 바꾼 형태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 첨가되는 접사의 종류는 크게 -kí-/-kíi-, -ík-, -tíkko의 3종류로 나눠볼 수 있겠습니다.
-kí-와 -kíi-는 형태의 유사성 및 자료의 배치 순서 등을 고려했을 때 비슷한 환경에서 나타나는 것 같습니다. 따라서 하나의 부류로 간주해도 무방할 듯 합니다. 또한 -tíkko는 어말에, -kí-/-kíi-, -ík-는 어중에 첨가된다는 점도 특이합니다.
한 가지 더 눈치챌 수 있는 사실은 접사가 첨가될 때 접사 앞의 장모음이 단모음으로 줄어든다는 것입니다. 다만 이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가 적기 때문에 잘못된 가정을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.
잘못된 가정 ①: 장모음은 무조건 단모음으로 줄어든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, naaɬiika의 부정 형태에서는 접사 앞의 ii만 줄어들고 aa는 그대로 남았습니다. 반례가 존재하므로 적절하지 않은 가정입니다.
잘못된 가정 ②: 장모음이 있을 경우 가장 오른쪽의 장모음 VV가 V-접사로 바뀐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. 언뜻 보기에는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, 이 역시 적절하지 않은 가정입니다. 이유는 아래 문단과 같습니다.
앨라배마어 동사의 긍정 형태는 다양한 모습이지만, 형태적 과정을 거친 부정 형태는 음운론적으로 굉장히 일관적입니다. 위와 같이 부정 형태는 항상 -kí(i)C(C)o 혹은 -(C)íkko로 끝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즉, 긍정 형태를 부정 형태로 만드는 규칙은 결국 일관적이지 않은 형태들을 일관적으로 만들기 위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.
하지만 잘못된 가정 ②는 위와 같은 음운론적 일관성을 설명할 수 없습니다. 만약 잘못된 가정 ②에 따라 문제를 푼다면 ooti와 ootoba의 부정 형태가 일관성을 잃는 문제가 생깁니다. 따라서 잘못된 가정 ②는 적절하지 않습니다.
언어학 올림피아드는 단순한 퍼즐이 아닌 인간 언어를 분석하는 과정이라는 점을 유념하고 본격적으로 문제를 풀어보도록 합시다.
Step 3: 각각의 접사가 나타나는 환경 찾기 ①
접사들이 실현되는 환경을 분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, 이 글에서는 우선 접사가 첨가되는 위치를 표시하는 방식으로 접근해 보겠습니다.
어중에 첨가되는 접사들은 항상 마지막 음절 앞에 첨가되는데, 이는 부정 형태의 음운론적 일관성을 형성하기 위한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. 상기했듯 부정 형태에서 마지막 두 음절의 구조는 -kí(i)C(C)o 혹은 -(C)íkko가 되어야 하기 때문입니다.
한편 도입부에서 언급했듯 세 종류의 접사들 중 -tíkko만 어말에 첨가되는 것이 특이해 보입니다. -tíkko가 첨가되는 단어들과 그렇지 않은 단어들을 비교해 보면, 그렇지 않은 단어들은 접사가 첨가되는 위치에 자음 혹은 모음이 연속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물론 단순히 단어 내 장음의 존재 여부가 접사의 종류를 결정한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 그렇다면 naaɬiika와 같이 장음이 두 개 이상인 동사들은 접사의 첨가 위치를 설명할 수 없는 문제가 생깁니다.
또한 자료를 잘 살펴보면 연속하는 자음 혹은 모음 앞의 음소들은 접사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다. 즉, 분석 대상이 접사 앞 장모음까지로 한정됩니다. 물론 이것은 부정 형태의 음운론적 일관성이 마지막 두 음절에만 적용되기 때문입니다.
이상의 논의를 좀 더 구체화하면 -kí-/-kíi-, -ík-이 첨가되는 단어들은 -VCCV 혹은 -VVCV로, -tíkko이 첨가되는 단어들은 -VCV로 끝난다는 규칙을 세워볼 수 있겠습니다.
Step 4: 각각의 접사가 나타나는 환경 찾기 ②
이제 -tíkko가 나타나는 음운론적 환경을 해명했으니, -kí-/-kíi-와 -ík-에 관심을 가질 차례입니다.
가장 먼저 눈에 띄는 것은 -ík-가 첨가되는 단어들이 전부 –VVkV 혹은 –VCkV로 끝난다는 것입니다. -kí-/-kíi-가 첨가되는 단어들 중에는 그러한 형태가 없으니 신뢰할 만한 기준입니다. 이를 토대로 방금 세운 규칙을 세분화해 봅시다.
① -kí-/-kíi-가 첨가되는 단어들은 -VCCV 혹은 -VVCV로 끝난다. (C≠k)
② -ík-가 첨가되는 단어들은 -VCkV 혹은 -VVkV로 끝난다.
③ -tíkko가 첨가되는 단어들은 -VCV로 끝난다.
Step 5: 각각의 접사가 나타나는 환경 찾기 ③
마지막으로 -kí-와 -kíi-의 실현 환경을 찾아보도록 합시다. 생각보다 간단한 문제였네요!
아까 세웠던 규칙은 -kí-/-kíi-가 첨가되는 단어들은 -VCCV 혹은 -VVCV로 끝난다. 였습니다. 이 중 -VCCV로 끝나는 단어들에는 -kí-가, -VVCV로 끝나는 단어들에는 -kíi-가 첨가되는 것 같습니다. 또한 도입부에서 밝혀냈듯 장모음은 접사 첨가 후 단모음으로 줄어듭니다. 어말 모음이 o로 변화하는 규칙도 잊지 맙시다.
한편 -ík-가 첨가되는 단어들도 동일하게 -VCCV로 끝나는 단어들과 -VVCV로 끝나는 단어들로 나눌 수 있을지에 대해 의문이 생깁니다. 확인해 봅시다.
장모음 축약이라는 규칙은 오직 -VVCV로 끝나는 단어들에만 적용되므로 -VCCV로 끝나는 단어들과 -VVCV로 끝나는 단어들을 구분하는 것이 합리적일 듯 합니다. -kí-/-kíi-가 첨가되는 단어들과 다른 점은 접사의 형태가 -ík-으로 동일하다는 것이겠군요.
Step 6: 규칙 정리하기
이제 모든 접사의 실현 환경을 규명했으니, 지금까지의 모든 논의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규칙을 세워볼 수 있겠습니다. 왼쪽이 긍정 형태, 오른쪽이 부정 형태입니다.
① -VCCV → -VkíCCo
② -VVCV → -VkíiCo
③ -VCkV → -VCíkko
④ -VVkV → -Víkko
⑤ -VCV → -VCVtíkko
규칙을 전부 알아냈으니 이제 과제를 해결해봅시다.
Step 7: 빈칸 (ㄱ)~(ㅁ) 채우기
빈칸 (ㄱ)~(ㅁ)을 채우기 위해서는 주어진 긍정 형태 동사들을 부정 형태로 바꿔야 합니다. 각각의 단어들이 어느 유형에 속하는지를 표시하면 위와 같습니다.
따라서 (ㄱ)은 ③번 규칙에 따라 basíkko, (ㄴ)은 ①번 규칙에 따라 nocikíhlo, (ㄷ)은 ②번 규칙에 따라 okíito, (ㄹ)은 ⑤번 규칙에 따라 ootobatíkko, (ㅁ)은 ④번 규칙에 따라 waliíkko입니다.
ootoba와 waliika 등 자칫 헷갈릴 수 있는 어형에 주의하며 빈칸을 채워나가야 합니다. 이제 나머지 과제까지 해결해 봅시다.
Step 8. 빈칸 (ㅂ)~(ㅊ) 채우기
빈칸 (ㅂ)~(ㅊ)을 채우기 위해서는 반대로 부정 형태를 보고 긍정 형태를 추론해야 합니다. 각각의 형태들이 어느 규칙을 거쳤는지 표시하면 위와 같습니다.
먼저 botoíkko는 -ík가 첨가되었는데, 접사 앞에 o가 있으므로 oo가 축약된 것임을 짐작해볼 수 있습니다. 즉, ④번 규칙이 적용된 것이며 (ㅂ)에 들어갈 긍정 형태는 botooka일 것입니다.
마찬가지로 boyíkko는 ③번 규칙이 적용된 형태이므로 (ㅅ)에 들어갈 긍정 형태는 boyka임을 알 수 있습니다.
그러나 hobatíkko는 어떤 접사가 첨가된 것인지 불분명합니다. –tíkko가 첨가된 것으로 볼 수도 있고, –ík가 첨가된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. 각각 ⑤번 규칙과 ③번 규칙이 적용된 형태로 볼 수 있으므로 긍정 형태는 hoba 혹은 hobatka일 것입니다.
likíilo는 -kíi-가 첨가된 형태입니다. 따라서 ②번 규칙이 적용된 것이고 (ㅈ)에 들어갈 긍정 형태는 liila가 적절해 보입니다.
마지막으로 lokíkbo는 -kí-가 첨가되어 있습니다. ①번 규칙이 적용된 것이므로 (ㅊ)은 lokba임을 알 수 있습니다.
전체 정답은 따라서 위와 같습니다.
마치며
이렇게 앨라배마어 문제의 풀이가 끝났습니다. 규칙 자체가 복잡한 것은 아니지만 자칫하면 잘못된 규칙을 세울 수 있기에 꼼꼼함을 요하는 문제였습니다.
이 문제는 KLO 최초로 접요사가 등장한 문제입니다. -kí-처럼 어중에 첨가되는 접사를 접요사, -tíkko처럼 어말에 첨가되는 접사를 접미사라고 합니다. 또한, 어두에 첨가되는 접사는 접두사라고 합니다.
범언어적으로 접요사는 음절의 번째 수를 기준으로 위치가 결정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. 앨라배마어에서 부정 접요사는 항상 맨 끝 음절 앞에 결합하니 일반적 사례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.
그럼 이것으로 KLO #3 앨라배마어 문제의 풀이를 전부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감사합니다.
작성 정원준
댓글이 없습니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