들어가며

반갑습니다. 언올닷컴 블로그 필진 정원준입니다.

이번 글에서는 KLO 2024/25 1번 문제인 문트빌트슈리프트 문제를 풀어보겠습니다.


Step 0: 소재 정보 파악하기

이 문제는 우리가 모르는 문자 체계에 대해 묻고 있습니다. 생김새에 겁먹지 말고, 이 문자가 어떤 문자인지 하단의 주석을 통해 파악해 봅시다.

주석을 보니 문트빌트슈리프트는 농인의 발음 교육을 위한 문자네요. 그렇다면 저 원과 도형들은 각각 얼굴과 입을 형상화한 것 같습니다. 몇몇 기호들의 ‘입’ 주변에 보이는 여섯 개의 선이 무엇인지는 아직 모르겠군요.

Step 1: 문제 형식 파악하기

과제 (a)의 요구 사항은 영어 숫자 one~ten과 문트빌트슈리프트 (ㄱ)~(ㅊ)을 짝짓는 것입니다. 이런 짝짓기 문제는 시작점을 잘 잡으면 대체로 잘 풀어나갈 수 있습니다.

한 가지 짚고 넘어갈 점이 있다면, 영어 단어들은 쓰이는 대로 소리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. 당장 nine도 [nain]처럼 소리나고, eight도 [eit]에 가깝죠. 문트빌트슈리프트는 음성 기호라고 했으니 실제 발음을 반영할 가능성이 큽니다.

그럼 one부터 ten까지 영어 숫자들의 발음을 대강 정리하고 진행해 봅시다. 문제 풀이를 보조할 목적이니 엄밀할 필요는 없습니다.
(ʌ ≈ 한국어 모음 ㅓ, θ = three의 th, i: = 장모음 i)


one [wʌn]
two [tu]
three [θri:]
four [for]
five [faiv]
six [siks]
seven [sevn]
eight [eit]
nine [nain]
ten [ten]


Step 2: 시작점 찾기

다시 문제를 봅시다. 제일 먼저 눈에 띄는 것은 (ㅅ)의 앞뒤로 똑같은 기호가 있다는 것입니다. 아까 정리한 영어 숫자들의 발음 중에는 nine[nain]이 그렇네요!

(ㅅ)이 nine[nain]이라면 (ㅅ) 앞뒤의 기호는 /n/, 나머지 두 기호는 각각 /a/와 /i/ 발음을 나타내겠군요. /a/가 /i/보다 발음할 때 입이 더 많이 벌어지니, 입을 벌린 것처럼 생긴 기호가 /a/, 다른 하나는 /i/라고 추측할 수 있겠습니다.

Step 3: 시작점을 토대로 추가적 정보 알아내기

알아낸 기호들의 발음을 전부 표시해 봅시다. 추가로 몇 가지를 더 짝지을 수 있겠군요!

(ㄹ)은 ?i?이니 eight[eit]이겠습니다.
(ㅂ)은 ??n이니 ten[ten]일 것 같습니다.
(ㅇ)은 ???n이니 seven [sevn]같네요.
(ㅈ)은 ?ai?이니 five[faiv]이겠군요.
(ㅊ)은 six[siks]인 듯 하네요. /ks/는 두 개의 기호를 겹친 모양이군요.

(ㄷ)은 ?an인데, n으로 끝나는 숫자 중 남은 것은 one[wʌn]입니다. 문트빌트슈리프트는 /ʌ/와 /a/를 같은 기호로 나타낸다고 보는 것이 제일 명료한 설명이겠네요.

이제 알아낸 기호들의 발음을 전부 표시해봅시다.

Step 4: 과제 (a) 해결하기

(ㄱ), (ㄴ), (ㅁ)만이 남았습니다. 전부 짝지어 봅시다!

(ㄱ)은 t로 시작하니 two[tu]입니다.
(ㄴ)은 f로 시작하니 four[for]겠고요.
마지막으로 (ㅁ)은 three[θri:]네요! 장모음은 조금 다른 기호로 표기하나 봅니다.

이렇게 과제 (a)를 전부 풀어냈습니다. 문트빌트슈리프트의 구조를 파악했으니 과제 (b)도 풀어봅시다.

Step 5: 알아낸 정보를 기반으로 과제 분석하기

과제 (b)의 요구 사항은 문트빌트슈리프트 (ㅋ)~(ㅎ)을 알파벳으로 나타내는 것입니다. 하지만 과제 (a)에서 알아낼 수 없는 기호들이 몇 개 있어 아직까지는 전부 해결할 수 없습니다.

(ㅎ)의 첫 기호를 제외하면 전부 알고 있는 기호들에서 ‘입’ 옆의 선을 제거한 형태입니다. 이 선들은 무슨 기능을 하는 것일까요?

Step 6: 알아낸 정보에서 과제 해결에 필요한 정보 도출하기

과제 (a)의 five[faiv]를 잠깐 다시 봅시다. ‘입’의 모양이 같고 선의 유무만 다른 기호들이 있는데, 각각 /f/와 /v/를 나타냅니다.

/v/는 /f/를 성대의 울림과 함께 발음한 자음입니다(직접 발음해본다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!). 성대가 울리지 않는 소리(무성음)를 나타내는 기호에서 선들을 제거하면, 그것을 성대의 울림과 함께 발음하는 소리(유성음)가 되는 것 같습니다.

이 문제에 나타난 각각의 무성음에 대응하는 유성음은 아래와 같습니다(이쪽도 직접 발음해본다면 알 수 있습니다. ð = father의 th).


/k/ – /g/
/t/ – /d/
/s/ – /z/
/θ/ – /ð/


나머지 기호들이 나타내는 발음을 알았으니 소문항 (b)를 해결해봅시다.

Step 7: 과제 (b) 해결하기

(ㅋ)은 w-a/ʌ-i-t이니 white같네요. wait이 아닙니다!
(ㅌ)은 k-i-d-z, kids입니다.
(ㅍ)은 g-a/ʌ-r-d-n이니 garden이고요.
마지막으로 (ㅎ)은 ?-a-ð-r입니다.

(ㅎ)의 첫 기호는 입을 다물고 발음하는 듯한 모양새의 유성음 기호네요. 발음해 본다면 /m/ 혹은 /b/와 같은 소리임을 알 수 있습니다.

(ㅎ)은 m-a/ʌ-ð-r, mother이거나 b-a/ʌ-ð-r, bother이겠군요! (실제로는 mother입니다)

전체 정답은 따라서 위와 같습니다.


마치며

이렇게 문트빌트슈리프트 문제의 풀이가 끝났습니다. 많이 어렵지는 않은 문제이지만, 유성음과 무성음의 개념을 아는 참가자라면 조금 더 쉽게 문트빌트슈리프트의 구조를 눈치챌 수 있었겠습니다.

문트빌트슈리프트(MundBildSchrift)는 독일어로, 각 형태소의 뜻을 밝혀 적으면 Mund(입)-Bild(그림)-Schrift(문자)입니다. 국제음성기호(IPA)에 비하면 덜 엄밀하지만, 단순하고 익히기 쉽습니다.

문트빌트슈리프트로 자신의 이름을 쓰는 학생(출처: www.Signwriting.org)

농인들의 언어 학습을 보조하는 다른 문자 체계로는 사인라이팅(SignWriting)이 있습니다. 사인라이팅은 수어를 기록하기 위한 문자로, 수어에 쓰이는 신체 부위와 공간적 정렬 등을 기호화하여 나타냅니다.

그럼 이것으로 KLO 2025 #1 문트빌트슈리프트 문제의 풀이를 모두 마치도록 하겠습니다.

감사합니다.


작성 정원준

카테고리

댓글이 없습니다

답글 남기기